화려한 도심의 어두운 단면 '공·폐가'

공·폐가 도내 1천800곳… 청주만 400곳 추정
인근 주민들 범죄 발생 우려 등 불안 토로
"범죄예방 등 위해선 시설·환경적 개선이 필요"

2014.12.07 19:20:43

편집자

충북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5대 범죄는 모두 8만8천730건이다.

살인·강도·강간(강제추행)·절도·폭력 등 강력범죄가 한 해 평균 1만1천746건씩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충북의 중심 청주시는 옛 도심 활성화와 환경 개선 등을 위해 매년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붓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비한 상황이다.

도심 공·폐가와 공원, 주택 밀집지역, 유흥가, 노상 등 장소를 불문하고 계속되는 범죄가 이를 방증한다.

본보는 모두 6회에 걸쳐 우범화 된 도심의 각종 무질서를 진단하고 타 지역 우수사례 등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해 본다.

지난 6일 청주시 금천동의 한 공·폐가가 출입을 통제하는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돼 있다.

ⓒ김동수기자
"도깨비 나올 것 같은 집 근처에서 누가 살고 싶겠어."

6일 청주시 상당구 수동의 한 주택가.

이곳에는 저소득층이나 홀몸 노인 등이 주로 생활하고 있다.

한 눈에 들어오는 허름한 집들이 이곳의 어려운 환경을 대변했다.

길을 따라 늘어선 집 사이사이로 빈집들이 눈에 들어왔다.

담벼락이 반쯤 부서져 집 내부가 훤히 보이는가 하면 넝쿨에 뒤덮여 있는 빈집도 있었다.

지난 6일 청주시 금천동의 방치된 공·폐가 내부가 각종 폐기물로 아수라장이다.

ⓒ김동수기자
방치된 빈집 안에는 각종 가구와 생활 폐기물 등이 방치돼 있었다.

이곳 한 주민(82)은 "사람들이 (집을)떠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다"며 "종종 낯선 사람들이 들락거리기도 하고 특히 밤에는 무서워서 밖에 나가기가 꺼려진다"고 말했다.

지난 6일 청주시 금천동 한 주택가에 흉물스럽게 방치돼 있는 3층 건물.

ⓒ김동수기자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의 한 주택가에도 곳곳에 공·폐가가 남아있었다.

원룸이 빼곡히 들어서 있는 3층짜리 건물이 유독 눈에 띄었다.

건물 입구에는 '이 장소는 성폭력, 학교폭력 특별관리지역입니다'라는 출입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었지만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들어갈 수 있었다.

지난 6일 현관문이 잠겨있지 않은 한 공·폐가 안에 누군가가 생활하던 흔적이 남아있다.

ⓒ김동수기자
벽돌을 치우고 방 안으로 들어가 보니 낡은 베게와 매트리스가 깔려 있었고 담배꽁초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어 최근까지 누군가 생활해 왔음을 짐작케 했다.

인근 한 주민은 "사람들이 공·폐가 못 들어가게 막아 놔도 고물상들이 공구까지 들고 와서 돈 되는 건 다 뜯어간다"며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들어갈 수 있으니 노숙자들이 와서 자고 가는 모습 등을 종종 목격했다"고 전했다.

충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도내 공·폐가는 1천800여개.

청주에만 300~400개소의 공·폐가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지난달 26~28일 755명의 인력을 동원해 범죄발생 취약지역 중심으로 도내 1천430곳의 공·폐가를 수색했다.

이 과정에서 청주청원경찰서는 공·폐가에서 생활하던 노숙인 4명을 관할 구청과 가족에게 인계했다.

일선 경찰들은 치안활동만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경찰 관계자는 "공·폐가나 공원의 경우 경찰들이 매일 순찰을 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지자체와 유관기관이 함께 나서 시설 등 환경적인 측면에서 범죄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는 공·폐가나 공원 문제에 대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사유지이기 때문에 시설 철거 등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지난 7월1일 통합시 출범 이후 정확한 공·폐가 통계조차 없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공·폐가 일제조사를 계획 중"이라며 "4개 구청에 조사를 요청한 상태라 내년 1월께 정확한 통계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시에 남아있는 공·폐가는 사유지이기 때문에 지자체에서 철거 등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내년에 5개 공·폐가를 매입해 무료주자창을 만들고 60개 공·폐가에 대해서는 철거비용 지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박태성·김동수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