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이 진천에서 태어난 이유는

2010.03.25 11:55:28

조혁연 대기자

고구려 온달이 아단성 전투에서 사망한 것은 서기 590년이다. 김유신은 이보다 5년 늦은 서기 595년에 충북 진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당시 진천태수였던 김서현이고, 어머니는 진흥왕 조카인 만명부인이다. 삼국사기는 둘에 대해 '눈이 맞아 중매도 없이 야합했다'고 적고 있다. 사실 공자의 부모도 야합을 해 공자를 낳았다.

김유신은 금관가야 마지막 왕인 구해왕의 3대 직손이다. 그런 그가 왜 충북 진천에서 태어나게 됐는지에 대해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다. 당시 신라 조정은 가야를 정복한 후 이른바 사민정책을 쓰게 된다.

사민정잭은 반란이나 역모 등을 우려해 정복지 주민을 다른 곳으로 강제 이주시키거나 근무시키는 정책을 말한다. 김유신 아버지인 김서현이 경주가 아닌, 진천태수로 부임하게 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여기에는 '가야에서 귀순한 것은 고맙지만 전쟁이 나면 네가 먼저 싸워라' 의미가 담겨 있다

우륵은 본래 대가야, 강수는 임라가야 사람이었다. 그러나 두 사람도 당시 신라 조정의 사민정책에 따라 변방 충주로 옮겨와 살게 된다. 이를 두고 혹자는 "총알받이 의미가 있다"고 극단적으로 말하기도 한다.

김유신이 언제까지 진천에서 자랐는지 사료상 확인되는 것이 없다. 다만 적어도 17살 이전에 진천을 떠나 경주로 갔고, 이후 화랑이 돼 삼국통일의 초석을 다진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에는 '김유신이 건복 33년에 경주 중악의 동굴로 들어가 목욕재계 하고 하늘에 아뢰어 맹세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건복 33년'은 김유신의 나이 17살에 해당한다. '건복'은 신라 진평왕의 연호다.

그러나 김유신 가문은 그가 죽은 후 용도폐기 된다. 김유신은 삼광, 원술, 원정 등 3명의 아들을 뒀다. 그러나 김유신이 죽은 후 이들이 고위직에 올랐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김유신 증손인 '김융'은 혜공왕 6년(770년) 반란을 일으켰다가 죽음을 당하게 된다.

당시 경주의 신라 귀족들이 김유신 가문을 박대한 이유는 역시 기득권 때문이었다. 경주의 귀족들은 '경주김씨'인데 비해, 김유신 가문은 김해에서 넘어온 '김해김씨'였다. 한 마디로 이방인인 셈이다. 따라서 당시 경주 김씨들은 김유신 가문을 '신김씨'라고 부르며 노골적으로 차별 대우를 했다.

김유신이 그가 죽은 후 무려 162년이 지난, 서기 835년이 돼서야 '흥무대왕'으로 추존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삼국유사 미추왕조에는 김유신의 혼이 탄식하는 내용이 실려 있다.

"신이 평생 동안 어려운 시국을 구하고 삼국을 통일한 공을 세웠습니다. 하오나 지난 경술년에 신의 자손이 아무런 죄도 없이 죽었고, 왕이나 신하들은 저의 공적을 생각지 않습니다. 신은 차라리 멀리 다른 곳으로 옮겨가서, 다시는 나라를 위해 애쓰지 않을 것이니, 왕께서는 허락해 주십시오"

혼을 빌려 한 얘기지만, 김유신의 후손들이 신라 조정에 느끼는 불만과 배신감이 잘 드러나 있다. 통일신라 지배층의 이러한 편협함은 결국 150년 동안 무려 20명의 왕이 바뀌면서 사직 천년을 고려 왕건에게 넘겨주게 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