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의 이야기

2014.09.14 17:28:25

유춘원

충북사회복지사협회장

용산구 한 여관방에서 살던 70대 남자가 고독사 하였다. 작은 여관방에서 그가 남긴 유품중 2000년 촬영 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업체 공식 행사 사진, 회사 직인, 각종 도장 등이 발견 되었다. 검소하고 당당한 중소기업 대표였던 그는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98년부터 2004년까지 1억 이상 장학금을 기부한 따뜻한 사업가였다. 허나 사회적 역할을 잘하였던 그도 사업 실패로 인해 여관방을 전전하며 홀로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였다. 한국에서의 경제력을 상실한 남자, 그것은 곧 죽음을 의미하는 듯 보였다.

보건복지부에서 조사한 '2011~2013 시도별·연령별 무연고 사망자 현황' 자료를 보면, 최근 3년간 무연고 사망자는 총 2천279명으로 남자가 79.2%, 여자가 18.2%, 로 무연고 사망자 중 80%가 남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2014.8.26>

고독사로 사망하는 무연고 사망자 중 남성이 여성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현대 사회 가족 구조의 잘못된 가장 역할 인식이 그 원인이 아닐까 생각된다. 고도성장 시대에 살면서 우리의 아버지들은 사회적 힘을 길러 일터의 전투에서 성공하고 강인한 아버지가 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정작 실패에 대처하는 방법은 간과하고 살아왔다.

한국 현대 사회에서 가족 내 아버지의 역할과 기능은 경제 활동에 집중되어 있는 측면이 강하다. 반면에 정서적 지지와 같은 경제 외적인 다른 역할에 있어서 아버지 위치는 상대적으로 많이 약화되어 있는 것 같다. '돈 벌어오는 기계'라는 우스겟 소리가 있을 정도로 아버지들은 가족들과 정서적 공유보다는 가정 경제의 책임자로서 역할을 다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가족 내 경제적으로 힘 있는 아버지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강조되었다. 한편, 세계에서 유일한 가족 문화인 '기러기 아빠'가 생겨나면서 경제적으로 희생하는 아버지의 모습이 하나의 사회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현대 사회의 아버지들은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직면 하였을 때, 가족들에게 무능한 아버지로 낙인찍힐까 두려워 어려운 상황을 가족들과 공유하지 않고, 가족을 이탈하여 홀로 모든 고통을 해결하려고 한다. 또한 뒤늦게 가족과의 정서적 교류를 통해 고통을 나누고 싶다 해도 정서적 관계가 익숙하지 않아 오히려 가족 간에 상처를 주게 되고, 그 결과 이혼, 별거 등으로 가족과 더 멀어지게 된다. 즉, 남성을 지켜내는 것은 경제활동 영역이라고 여기며 살아가다가 이것이 무너지게 되면 함께 나누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채 가족, 직장을 등지고 홀로 외로이 남게 된다.

이러한 사회 현상을 개선하고 고독사가 아닌 아름다운 죽음(웰다잉-well-dying)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가족의 역할과 기능에 있어 현대 사회의 가족 구조를 반영하는 변화를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서 가족 내에서의 남편, 아내 역할에 대한 재구조화가 꼭 필요한 시점이다. 가정내 가족의 역할과 기능의 재정립이 필요하고 아버지를 향한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함께 열린 소통을 해야 한다. 따라서 경제 활동에 대한 부분을 온전히 가장이 짊어지기보다는 부부가 합심하여 서로 나누어야 한다. 부부가 평등하게 가족 경제 문제에 대해 함께 인식하고 성장해 나감으로서 경제적 안정과 함께 하나의 운명 공동체로서 건강한 가족문화가 형성되길 기대해 본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