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에 자국문자 사용…동양 삼국중 한국이 유일

세종대왕 초정약수 축제로 본 한글
중국: 로마자 발음 선택후 다시 성조 확인 "2단계 입력"
일본: 로마자 발음 의존하지 않으려면 최대 "5번 터치"
한글: 음소문자로 자모음 분리… 즉석 무수한 문자조합

2016.05.23 15:51:41

편집자 주

한·중·일 동북아 삼국을 한자 문명권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이 포함된 정보화시대의 문자입력 방법은 현격하게 다르다.
동양 삼국 가운데 한글을 사용하는 한국만이 거의 유일하게 각종 정보 기기의 자판에 자국문자를 직접 입력하고 있다. 나머지 중국과 일본은 자국 문자를 분명히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문자 부호를 불러온 이후에야 원하는 자국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같은 차이는 음소문자(音素文字) 여부에서 비롯되고 있다. 올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27~29일)를 앞두고 동북아 삼국의 정보화시대의 문자입력 방법을 살펴본다.

[충북일보]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문자를 크게 뜻글자[표의문자]와 소리글자[표음문자]로 나눠지고 있다. 뜻글자는 그림을 시각화한 것이고, 소리글자는 말 그대로 소리를 문자화한 것이다.

뜻글자는 대표하는 것은 한자(漢字)로, 인류의 지식을 축적·저장·확산하는데 커다란 이바지를 했다.

그러나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화시대를 맞으면서 한자는 컴퓨터 자판의 첫 번째 문자입력에서 밀려났다. 현존하는 한자는 대략 10만자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10만자를 컴퓨터 자판에 모두 노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한자를 컴퓨터에 입력하려면 한자음을 로마자 발음으로 변환한 '한어병음'(漢語拼音, Chinese Romanization) 버튼을 우선적으로 찾아야 한다.

그러나 한자는 발음이 같은 글자가 매우 많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두 번째 단계로 해당 문자의 성조(聲調)를 확인한 후에야 원하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가령 컴퓨터에 한자 '馬'(마)를 입력하려 할 경우 로마자 발음 'ma'를 치면 같은 발음의 麻·罵 문자도 함께 노출된다. 이들 글자군 가운데 '馬'의 성조에 해당는 저요조(低凹調, 제3성)를 선택해야 문자 입력이 끝난다.

나머지 麻·罵 등의 문자는 로마자 발음 'ma'를 입력한 후 각각 제2성(상승조), 제4성(하강조)을 선택해야 입력이 완료된다.

일본문자인 가나(かな·假名)는 한글과 같은 소리문자이기는 하나 음절문자에 속하고 있다. 음절문자는 소리 표기의 최소 단위가 음절이면서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지 않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오십음도의 하나인 자음 'か'은 'ka'로 발음되나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다. 이에 비해 음소문자인 한글은 같은 '가' 발음의 경우 자음 'ㄱ'(k)과 모음 'ㅏ'(a)로 분리된다.

일본은 자국 문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로마자 발음을 통한 입력 방법이 대중화돼 있다.

ⓒ일본문자(히라가나+가타카나) 어플 캡처화면.
따라서 일본은 분명히 자국 문자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자와 마찬가지로 로마자 발음을 이용해 가나를 입력하고 있다.

가나만으로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로마자 입력 방식보다 크게 복잡해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 가령 'か'음 계열의 'こ(ko)를 입력하려면 'か' 버튼을 다섯 번 누르거나, 아니면 'か' 버튼을 선택한 후 같은 버튼내 또 다른 작은 버튼 하나를 다시 눌러야 한다.

이에 비해 음소문자인 한글은 자음과 모음 한 번의 터치를 통해 원하는 글자 대부분을 즉석에서 무수히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문학자들은 음소문자를 문자 발달사의 마지막 단계이자, 언중(言衆)이 구별할 수 있는 소리의 최소 단위로 파악하고 있다.

영어도 같은 음소문자이기는 하나 발음과 문자가 일대일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발음부호를 별도로 알고 있어야 한다. 이에 비해 한글은 발음과 문자가 거의 같아 발음부호가 거의 필요하지 않다.

일본 어문학자 노마 히데키(野間秀樹)는 한글의 이런 모습을 보고 '한글의 구조를 보고 있노라면 우리는 音이 文字가 되는 놀라운 시스템을 발견하게 된다.(중략) 그것은 문자의 탄생이자 知를 구성하는 原字의 탄생이기도 하고 쓰는 것과 쓰여진 것의 혁명이기도 하다'(한글의 탄생, 2011)라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영국 BBC 방송은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를 번역한 데버러 스미스가 한글을 배운지 7년만에 맨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공동 수상하자 '세종대왕도 상을 받을 만 하다'라는 기사를 싣기도 했다.

세종대왕은 1444년 봄 초정약수에 거둥, 한글 다듬는 작업을 계속 한 것으로 세종실록에 기록돼 있다.

/ 조혁연 객원대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