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신 문제점 찾아내야 확산 막는다

2017.02.09 17:30:11

[충북일보]구제역은 이미 확산 추세다. 충북에서 전북, 경기로 이어졌다. 그런데 유입·전파 경로가 여전히 물음표다. 다음 발생지가 어디가 될 지도 모른다.
 
구제역은 공기에 의한 전파 속도가 빠르다. 범위도 넓다. 강력한 초동방역이 최선이다. 초기에 잡아 확산을 막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사소한데까지 신경 써야 한다. 축산농가 자가 소독은 물론 출입 차량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사상 최악의 피해가 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도 아직 종식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구제역까지 확산하면 정말 큰일이다. 정국혼란보다 더 큰 '축산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구제역이 공포가 되지 않도록 온 힘을 다해야 한다.
 
전국의 모든 소에 대한 구제역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하지만 항체가 형성되는 1주일 내 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보은과 정읍 농장 3㎞ 이내에 위치한 농가의 구제역 항체 형성률이 낮다. 바짝 신경써야한다.
 
이번 구제역은 지난해 3월 충남 홍성군에서 발생 이후 11개월여 만이다. 방역당국은 이미 발생농장에서 사육 중인 젖소를 모두 살처분했다. 전국 우제류 축산농가 등을 대상으로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도 내렸다.
 
누가 뭐래도 방역의 최일선은 축산 현장이다. 축산 농가들이 발 벗고 예방에 나서야 한다. 그래도 아직 믿을 건 백신뿐이다. 물론 '물백신' 논란이 있긴 하다. 그래도 백신접종부터 철저히 해야 한다. 그 다음이 소독 및 출입자 통제 등 꼼꼼한 차단방역이다.
 
이번에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온 젖소농장의 항체 형성률은 아주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항체 형성률이 낮은 지역과 농가를 대상으로 한 사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긴급 백신접종에 대비해 백신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
 
정부의 안일한 행정이 이번 사태를 불렀다. 물론 정부가 구제역 발병·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은 게 아니다. 상대적으로 발병이 잦은 돼지에 집중하다가 소에 대한 관리를 소홀했다. 그 결과가 소구제역 발생이다.
 
돼지는 전체 농가를 대상으로 1년에 1회 백신을 접종한 뒤 구제역 항체가 형성됐는지 검사를 실시해 왔다. 검사 물량은 농가당 16마리다. 소는 전체 농가의 10%를 선정한 뒤 농가당 1마리만 조사했다. 그나마 표본 소 선정 방식이 엉터리로 드러났다.
 
현재 쓰는 백신의 문제점을 철저하게 분석해야 한다. 국내 구제역 바이러스와의 유전적 차이가 있다면 접종을 제대로 해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미 2015년부터 이런 의혹이 여러 차례 제기됐다.
 
철저한 역학조사는 기본 절차다. 구제역 발생원인과 유입경로를 밝혀내는 기본 과정이다. 당연히 빼놓을 수 없다. 무엇보다 신속성과 과감성이 필요하다. AI 발생 때와 같은 우(愚)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다시 한 번 더 강조한다. 구제역만큼은 초기에 잡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강력한 초동방역으로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AI보다 전염성이 강하다. 그런 만큼 발 빠른 초동방역 조치가 중요하다.
 
우리는 정부나 지자체가 농장주들의 도덕적 해이만 탓해선 안 된다고 판단한다. 대신 이번 구제역이 백신접종에도 발생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가장 먼저 백신의 문제점이 뭔지 파악해야 한다. 충북 보은에서 또 구제역 양성반응이 나왔다. 효과적인 맞춤형 방역을 요구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