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명산책 - 다락골

2017.03.15 15:58:50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수필가

'달-'계의 지명은 '다락-'으로 변이되기도 하여 '다락골'이라는 지명이 생기게 된다.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다락리는 한국교원대학교가 들어서면서 커다란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지만 다락리(多樂里)는 본래 청주군 서강내이상면(西江內二上面)의 지역으로 지형이 다락처럼 생겼다하여 다락골이라고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산리를 병합하여 다락리라 해서 강내면에 편입된 곳이다.

다락리란 지명들은 공통적으로 지형이 다락처럼 생겼다고 해서 생겨난 이름이라고 전해온다. 다락이란 말을 국어 사전에 찾아보면 '부엌 천장 위에 이층처럼 만들어서 물건을 두게 된 곳'이라 설명하고 있는데, 옛날 집들의 구조를 보면 방의 벽에 물건을 넣어두기 위하여 만든 벽장이 있는데 이것을 '다락'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오늘날의 집의 구조에서 천장이 높은 방의 천장 한쪽에 만들어 계단으로 오르내리는 방을 또한 다락방이라 부르게 됨으로써 집의 구성 공간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조금 변하여 쓰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락골이란 마을을 지형이 다락처럼 생겼다고 해석하면 높은 지대에 조성된 마을이라고 쉽게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지만 사실 마을의 위치를 다락과 같다고 보기에는 무언가 어색하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다락의 의미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의미라면 마을 이름을 다락골이라고 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다.

즉 '다락'이라는 말이 형태나 의미상으로 많은 변화를 거쳐 온 말임을 알고 그 변화 과정을 이해한다면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다락이란 고어 '달'에서 나온 말이다. '높다, 크다'는 의미의 '달'에 장소의 의미를 가진 명사형 어미 '악'이 붙어 '달악→다락'으로 형태가 만들어져서 오늘날 '다락'이라는 명사가 생겨난 것이다.

그런데 '다락골'이라는 지명은 '다락'이라는 말이 생겨나기 전에 '높은 지대에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로 '달골'이라 했을 것으로 재구해 볼 수가 있다. '달'이 수식어 역할을 하게 하기 위하여 이 말의 중간에 관형사형 어미가 첨가되어 '다리골(달의골)'이 되기도 하지만 의미가 전혀 다르게 들리기에 지형에 형태에 부합시키기 위하여 후에 생겨난 '다락'이라는 말로 대체한 것으로 생각이 된다.

이러한 지명들이 도내에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중리의 다락골,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호죽리의 다락골, 괴산군 청천면 이평리의 다락골, 괴산군 장연면 오가리의 다락골, 단양군 적성면 소야리의 다락골, 보은군 회인면 오동리의 다락골, 보은군 내북면 이원리의 다락골, 보은군 수한면 성리의 다락골, 옥천군 안남면 도덕리의 다락골 등 많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타지역에도 서울시 종로구 송현동, 사간동, 중학동에 걸쳐 있던 다락골을 비롯하여 천주교 순교자 최양업 신부의 생가가 있는 충남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의 다락골, 경북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의 다락골 등 헤아릴 수없이 많다.

그런데 대부분의 다락골은 작은 마을들이어서 자연지명으로 전해 오는 곳이 대부분이지만 서울시 종로구 묘동, 와룡동에 걸쳐 있던 다락골은 한자로 '누동(樓洞)'이라 표기하여 '다락골'의 의미에 충실하였다. 하지만 제천시 금성면 대장리의 다락골은 한자로 '월곡(月谷)'으로 표기하고 있어 '다락'의 변화 과정에서의 '달골'이란 옛 흔적을 보존하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한자로 표기할 때 옛 음과 의미를 고려하여 표기한 '월곡(月谷)'이라는 지명이 서울 성북구 월곡동, 경기도 평택시 월곡동, 광주시 광산구 월곡동 등에도 남아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에는 월곶(月串)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는데 이 월곶이라는 지명에서도 '월'은 '月'로서 '높다'는 의미의 고어 '달'을 표기한 것이며, '곶'은 산기슭이 평야 쪽으로 불쑥 튀어나간 곳을 의미하기 때문에 월곶은 달고지(달곶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月串面), 경기도 시흥시의 월곶동 들이 이러한 지명들이며 '달곶'이 후에 '달기'로 변이되어 지명에서 풍수지리의 입장에서 닭으로 해석하고 한자로 '계(鷄)'로 표기가 되면서 지명이 다양하게 변이되는 것이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