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조합장들이 해야 할 일

2015.03.17 13:57:40

제3의 지방권력자로 불리는 조합장 동시선거가 끝났다.

조합원인 유권자만 229만9천901명(전국)에 달했다. 3천509명이 출마했다. 지방선거 못지않은 규모였다.

농심(農心), 변화를 택했다

이번 조합장 선거는 같은 날 동시에 실시된 첫 선거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부정선거를 방지하고 선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앙선관위가 일괄 관리하는 동시선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의지에만 그쳤다. 과거 개별 조합장 선거 과정에서 노출된 불법행위는 여전했다. 무자격 조합원을 둘러싼 논란도 곳곳에서 벌어졌다. 상대 후보를 돈으로 매수해 자진사퇴를 유도하기도 했다. 사생활 공개와 허위사실 유포 행위도 기승을 부렸다.

선거 후유증이 거센 이유다.

이번에 당선된 조합장 10명 중 한명 가량이 수사대상에 올랐다.

전체 당선 조합장 1천326명 중 109명이 이런 저런 탈법을 저질러 수사를 받거나 내사대상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34명을 비롯해 광주·전남 12명, 강원 12명, 제주 9명, 전북 7명, 세종·충남 6명, 대구 5명, 인천 3명, 대전·울산·부산 각 2명 등 서울을 제외한 전국 109명의 당선자가 수사대상이다.

충북지역도 72명의 당선자 가운데 15명이 경찰의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이 가운데 2명은 선거관리위원회가 이미 고발 조치했다.

이렇게 조합장 선거가 과열된 건 권한이 막강하기 때문이다.

조합장 임기는 4년이다. 이 기간 동안 조합의 대표권, 업무 집행권, 직원 임면권 등을 행사한다. 농산물 판매와 하나로마트 운영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한 지역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막강한 권한을 갖는다.

대출 같은 신용사업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는데, 조합장 전결로 금리와 대출 한도를 정할 수 있다.

연봉은 대기업 간부가 부럽지 않다. 조합장이 되면 적게는 5천만원에서 많게는 1억 원의 연봉을 받는다. 판공비, 업무추진비 등은 별도로 지급된다.

조합 규모가 커지면서 조직력이 강해진데다 지역 유대도 끈끈하다 보니, 이 조합장 자리를 자치단체장으로 가는 디딤돌로 삼는 경우가 태반이다.

막강한 권한들이 조합원을 위해 봉사해야 할 조합장을 무소불위의 농촌 권력자로 만들었다. 반면 조합원인 농민들이 농협으로부터 소외되기 일쑤였다.

희망도 봤다.

첫 전국동시조합장 선거에서 강력한 농협 개혁을 주장한 후보들이 다수 당선됐다는 점에서다.

'좋은 농협 만들기 정책선거 실천 전국운동본부'의 농협 개혁 서약에 동참한 당선인 60명이 주인공이다. 비록 전체 농협 1천151개에 견줘선 100명에 5명꼴이지만, 서약에 참가한 조합(141개) 대비 당선 비율은 42.5%에 이른다. 현장에서 잔뼈가 굵은 농민활동가 출신 당선자도 여럿이다.

충북의 경우 현직조합장 출신들이 대거 낙선했다. '변화와 개혁'을 요구하는 농심을 보여줬다. 도내 농협과 축협, 품목조합, 산림조합 등 총 72개 조합에 대한 조합장선거 개표결과 전체 72명의 당선자 중 비현직조합장 당선자가 38명으로 전체의 52.8%를 차지했다.

이들이야말로 농협 개혁의 소중한 씨앗이다.

개혁만이 살 길이다

곪아 터진 농협 조직에 개혁의 칼을 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음에도 그간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게 사실이다. 일선 현장의 조합장 선거에서부터 번번이 개혁의 물꼬가 가로막힌 탓이 크다.

역사 이래 천하의 근본이었던 농업과 농민은 산업화 과정에서 계속 희생당하고 소외돼 왔다. FTA 시대의 험난한 파고를 힘겹게 헤쳐 나가고 있는 우리 농민들의 절절한 외침에 조합장들은 좀 더 세밀하게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

이번 선거는 농협이 진정으로 농민을 위하는 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는 근본적인 개혁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 홀로 서기가 어려운 한계 조합들을 통폐합해 단위 조합의 규모를 자립할 수 있도록 키워야 한다. 농민들을 위한 경제·유통 사업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전문경영인들이 조합을 경영할 수 있는 체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부정선거를 뿌리 뽑는 차원에서 수사대상에 오른 당선인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도 요구된다. 건전한 조합 운영을 위해서도 맞다.

새 조합장들은 농심이 조합의 변화를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개혁이 없으면 조합의 내일은 없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