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뽕열매 먹은 산비둘기' 충청감사 기준

2012.05.31 16:56:51

조혁연 대기자

꿈의 사전적인 정의는 수면 중에 일어나는 일련의 시각적 심상이다. 꿈의 가장 큰 특징은 꿈꾸는 '나'는 '나'이면서도 현실의 '나'와는 단절되어 있다는 점이다.

중국 고전인 주례(周禮)는 일찌기 점몽 편에서 꿈을 꾸게 된 원인에 따라 꿈을 정몽(正夢), 악몽, 사몽(思夢), 오몽(寤夢), 희몽(喜夢), 구몽(懼夢) 등 여섯 종류로 분류했다.

정몽은 깨어나도 기억이 생생한 꿈으로 어떤 문제에 깊이 고심하고 있을 때 주로 꾸게 된다. 악몽은 심히 놀라 꾸는 꿈, 사몽은 평소에 생각하던 것이 꿈속에서 나타난 것을 일컫는다. 잠에서 로또 당첨되는 꿈을 꿨다면 바로 '사몽'이 된다.

이밖에 오몽은 낮 동안에 있었던 일이나 평소에 말한 것을 꿈에 보는 것을, 구몽은 두려워하는 꿈을 말한다. 이밖에 꿈과 관련된 표현으로 비몽사몽(非夢似夢), 일장춘몽(一場春夢), 태몽(胎夢), 호접몽(胡蝶夢) 등이 있다.

이중 호접몽은 장자(莊子·BC 369 ~ BC 289?)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아니면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데서 나온 표현이다.

조선시대 양반가에서는 꿈을 꾸고 난 후 그 꿈의 인상, 충격, 의미를 잡아두기 위해 시(詩)를 짓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기몽시'(記夢詩)라고 한다. 직역하면 '꿈을 기술한다'라는 뜻이다.

유명한 기몽시를 남긴 인물 중에 기준(奇遵·1492∼1521)이 있다. 그는 사림파 조광조의 제자로, 사관(史官)을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할 정도로 전도양양한 인물이었다.

사가독서는 인재를 양성할 목적으로 젊은 문신들에게 휴가를 주어 일정기간 학문에만 전념케 하는 제도를 말한다. 그가 이런 기몽시를 남겼다.

'온 세계가 온통 어두움이여 / 평평한 육지에 어둔 바가 되었도다 / 하늘은 무엇 때문인가 / 내게 이런 때 만나게 하여 내 삶을 곤란케하네 / 도리를 남겨봤자 이해하기 못함이여 / 시간은 흘러가서 멈추지를 않는구나 / 아득하고도 아득한 우주여 / 강물이 소용돌이 침이여 / 뽕열매 먹은 산비둘기 울어대누나.'-<德陽遺稿>

 그는 이 기몽시를 짓게 된 동기에 대해 '어떤 사람이 나에게 글을 주었는데 잠에서 깼을 때는 기억이 안 나다가 잠시 잠들자 그 글을 읽을 수 있었다'다고 유고집인 덕양유고에 글을 남겼다.

 그가 이 시를 언제 지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덕양유고에는 그가 기묘사화 유배지에서 쓴 시가 많아 남겨져 있다. 따라서 이 시도 그가 정치적 어려움을 겪을 때 쓴 기몽시로 보인다.

 '강물이 소용돌이 치고 산비둘기 울어대는' 모습을 통해 혼탁한 세상을 표현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함경도 온성에 유배돼 있던 중 어머니상을 당하여 고향(충남 아산)에 돌아갔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이 터져 다시 유배지에 가서 교살됐다.

 그는 우리고장 출신인 김식(金湜·제천), 김정(金淨·보은))과 '절친'이었고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이맘 때가 그의 기몽시처럼 '뽕열매 먹은 산비둘기 울어대는' 계절이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