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5.12 17:42:13
  • 최종수정2024.05.12 17:42:13
[충북일보] 수소경제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마침내 정부가 수소특화단지 지정 공모 절차를 시작한다. 희망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는 다음 달 28일까지 신청서와 육성계획서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산업자원부는 지자체가 제출한 계획서를 중심으로 수소산업 집적도, 기반 시설 구축 여부, 지역산업 연계 가능성, 파급효과 등을 종합 평가한다.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또 한 번의 발걸음으로 기대된다. 충북도도 수소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 공모에 참여했다. 충북의 유치 희망지역은 충주시다. 충주시는 친환경 수소도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산업 관련 기업 26곳이 둥지를 틀고 있다. 청정수소 생산과 저장, 유통, 충전, 활용 등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한 셈이다.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로도 지정 받아 그린수소를 전국에서 가장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다.

충북도는 그동안 수소산업을 미래신성장 산업으로 여기고 꾸준히 지원해 왔다. 이번 충주 수소특화단지 지정을 통해 수소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각오다.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충주시는 그동안 중부권 최대 친환경 수소도시 조성이란 목표를 내걸고 달렸다. 그 덕에 이미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로도 지정돼 있다. 국내유일의 차량용 연료전지 생산거점인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주요 부품사들과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여러 면에서 수소특화단지 지정에 가장 유력한 후보지다.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도 개정됐다. 충주 유치 가능성을 더 높게 해준 대목이다. 개정 전 시행령에는 수소 기업이 집적화를 이루고 있는 지역, 교통·통신 등 기반시설이 갖춰져 있거나 기반시설의 설치·확충이 관계 법령에 따른 계획에 포함된 경우 등으로 지정 요건이 명시돼 있었다. 산자부는 이런 요건을 대폭 완화했다. 그 덕에 이미 수소 기업 집적화 계획이 있거나 가능한 지역도 특화단지로 지정할 수 있게 했다. 충주가 수소 기업의 집적화 수준을 갖춘 건 아니다. 하지만 대기업뿐 아니라 전문기업과 연관기업이 입지해 있다. 시행령 개정으로 특화단지 지정 요건을 갖춘 셈이다.

수소는 신재생 에너지 중 신에너지로 분류되는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이차 전지에 버금가는 미래 산업이다. 충북은 이미 이런 신에너지 산업의 중심에 서 있다. 관건은 수소특화단지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동시에 지역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일이다. 충북도와 충주시가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연계 산업을 발굴해야 한다. 수소특화단지 지정은 충주의 미래를 희망으로 바꿀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충주는 그 옛날 비료공장 시대의 성장력이 약화하며 몰락했다. 한국 제조업 몰락을 상징하는 도시가 됐다. 주력산업 부재 탓이다. 쇠락하는 충주에서 벗어나는 길은 수소특화단지 유치다. 충북도와 충주시와, 학계 등 산학연정이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최적의 수소특화단지 유치 전략을 짜야 한다. 수소특화단지는 수소사업자 및 지원시설의 집적화와 수소전기차·연료전지 등의 개발·보급을 지원하기 위해 지정한다. 사업 기획 및 예타 조사 지원 등 많은 특전이 주어진다. 산업부의 지정요건을 보면 수소산업 사업자 간 집적화, 주요 산업과 수소산업의 연계 발전 가능성, 국가 수소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 등이다. 잘 살펴 충주의 여건에 맞게 계획서를 만들어야 한다.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