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6.30 18:45:20
  • 최종수정2024.06.30 18:45:20
[충북일보] 대한민국은 배터리 관련 기술 선진국이다. 그리고 리튬전지는 전기차, 휴대전화, 노트북PC,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일상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리튬 일차전지 공장 화재로 23명이 숨지는 등 모두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동안 사각지대에 놓였던 리튬전지 안전관리 실태가 확인된 셈이다. 화재 예방·조기 진압 장치 부재, 외국인 근로자 관리 소홀 등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번 참사도 매번 되풀이돼 온 인재와 다름없다. 화학시설 관련 산업의 위험도는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사고 예방과 안전 확보를 위한 제도적 대응책은 미흡하다. 소방서가 위험물들을 인·허가르르 하는 건 맞다. 하지만 관련 산업을 설계, 감리, 감독하는 사람들의 기술력은 법적 제한을 받지 않는다.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위험도는 가중되고 있지만 제도적으로 대응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리튬전지 산업을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분류한다. 그만큼 산업의 규모와 활용도 등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상응하는 안전대책은 미흡한 게 사실이다. 안전점검의 허술함도 지적되고 있다. 불이 난 아리셀 공장의 경우 환경부가 지난달 17일 안전점검을 실시해 '이상 없다'는 결론을 냈다. 결과론적이지만 형식적이고 허술한 점검이 아니었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 배터리는 특성상 다른 제조물보다 화재 위험성이 크다. 그런데도 대강 훑어보는 식의 점검이었다면 큰 문제다. 사고 개연성을 인식조차 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 화재가 발생한 곳은 다량의 완제품 리튬전지를 검품하는 장소였다. 때문에 화재 위험성은 더 컸다. 리튬전지는 열폭주 현상 등으로 화재에 취약하다. 이런 점 등을 감안할 때 공정설계와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등이 미흡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위험은 배터리를 제조하는 업체에만 있는 게 아니다. 다 쓴 배터리를 처리하는 업체들도 화재 등 안전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배터리로 인한 금속 화재는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진화는 어려운 까다로운 화재다. 환경부에 등록한 전국의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는 모두 21곳이라고 한다. 충북의 경우 4곳이 폐기물 재활용 업종으로 등록했다. 물론 해당 업체들이 어떤 전지를 취급하는 지까진 알 수 없다.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들은 리튬전지는 물론 알칼리·망간 전지 등 다양한 종류를 다룬다. 배터리를 파쇄하거나 분쇄한 후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추출해 재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가 외부의 충격을 받으면 연쇄적인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리튬 외에 다른 소재도 특정 발화 온도나 습도에서 공기와 접촉했을 때 자연 발화할 수 있다. 실제로 여러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게다가 재활용업체 특성상 영세 중소기업이 많다. 소방당국의 안전 관리 규정을 적용받기에는 양적으로 미치지 않을 때가 많다. 그러다 보니 관리 대상에서 제외되기 일쑤다. 재활용 업체들은 이번에 고용노동부가 진행한 긴급 현장 지도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안전관리 사각지대인 셈이다.

앞으로 배터리 산업은 커져 갈 수밖에 없다. 1차전지, 2차전지 등 각종 배터리가 안 쓰이는 데가 없을 정도다. 우리의 일상 깊숙하게 자리하고 있다. 생산시설의 안전관리는 너무 당연하다. 작업장 근로자들의 안전과 숙련도 제고, 소화 능력 향상 등 산업구조의 변화에 맞는 대책이 절실하다.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