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5.22 17:17:58
  • 최종수정2024.05.22 17:19:32

시인 신경림

ⓒ 뉴시스
[충북일보]'농무', '가난한 사랑노래' 등의 작품으로 대중의 사랑을 받은 '한국 대표 민중시인' 신경림(사진)씨가 22일 별세했다. 향년 88세.

암으로 투병하던 신 시인은 이날 오전 8시 17분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숨을 거뒀다.

문인 단체들은 고인이 문단에 끼친 영향 등을 고려해 한국시인협회 등 주요 문인단체들이 참여하는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고인을 모시기로 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이며 도종환 의원이 장례위원장을 맡을 예정이다.

발인은 오는 25일 오전 5시 30분, 장지는 충주 선영으로 알려졌다.

지난 1936년 충주시 노은면에서 태어난 신 시인은 충주고와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동국대 재학 중이던 1956년 '문학예술'에 '갈대', '묘비' 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근대화로 농촌이 붕괴되기 시작한 무렵인 1973년 첫 시집 '농무'를 간행해 농민의 울분과 허탈감을 절묘하게 시로 승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로 시작되는 농무는 고향인 노은면을 배경으로 해 1960~1970년대의 농촌의 현실과 농민의 소외된 삶을 효과적으로 그렸다.

시인은 이후 반세기 넘는 시간 동안 '새재(1979)', '달 넘세(1985)', '민요기행 1(1985)', '남한강(1987)', '가난한 사랑노래(1988)', '민요기행 2(1989)', '길(1990)', '갈대(1996)',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999)', '낙타(2008)', '사진관집 이층(2014)' 등의 시집을 써냈다.

만해문학상, 단재문학상, 대산문학상, 시카다상, 만해대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으며,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상임의장, 동국대 석좌교수를 지냈다.

신 시인의 타계 소식에 김영환 충북지사가 깊은 애도와 조의의 뜻을 밝혔다.

김 지사는 "충주가 낳은 민중시의 거목 고(故) 신경림 시인의 별세를 마음 속 깊이 애도하고 조의를 표한다"며 "신 시인은 1970~1980년대 시단에서 민중 시의 새로운 장을 연 원로시인으로, 평소 존경했을 뿐더러 시를 통해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도는 신 시인의 문학적 성과를 계승하고 시를 통해 충주와 충북을 널리 알린 고인의 숭고한 뜻을 기리는 한편 영원히 그를 기억하겠다"고 덧붙였다.

/ 임선희기자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