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철저한 조사·책임 규명" 촉구

충북노동자시민회의,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관련 성명

  • 웹출고시간2024.06.26 16:37:29
  • 최종수정2024.06.26 16:37:29
[충북일보] 충북노동자시민회의는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공장 화재 사고와 관련 26일 철저한 원인 조사와 책임 규명을 촉구했다.

충북노동자시민회의는 이날 성명을 내 "화성 화학 폭발 사고를 마주하며 우리는 참담한 마음을 담아 사망한 노동자들의 명복을 빈다"며 "이번 사고는 노동자 수십 명을 사망에 이르게 한 중대재해이며 유해 화학물질 폭발 사고"라고 강조했다.

이어 "배터리 산업과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증가하고 있고,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위험성은 이미 전기차 배터리, 핸드폰 배터리 폭발 등 여러 곳에서 확인됐다"며 "하지만 정부는 폭발과 화재를 예방하는 것에 대해서 등한시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화학 폭발 참사가 발생하고 나서야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용 소화기'를 개발하겠다는 대책을 내놓았다"며 "정부는 1, 2차 배터리 산업의 위험함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참사가 벌어지고 나서야 급급하게 대책을 발표한 것이다. 심지어 본질은 해결하지 못할 대책"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화재 폭발에 취약한 화학물질을 취급함에도 아리셀 공장 외벽은 샌드위치 패널이었다. 리튬배터리 공장을 샌드위치 패널로 공장을 지어도, 위험한 리튬배터리 3만 5천 개를 아무런 방재시설 없이 보관해도 소방점검과 안전점검은 화재의 위험성을 예방하지 못했다"며 "이는 현행법이 물질의 안전성과 노동자의 안전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결과"라고 지적했다.

충북노동자시민회의는 "사망자 23명 중 20명은 이주노동자"라며 "리튬배터리는 더 열악하고 더 위험한 조건에서 저임금 이주노동자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었다. '책임은 하청에, 이윤은 원청 대기업으로' 돌아간 생산구조는 결국 더 위험하고, 더 걷잡을 수 없는 사고를 양산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사고의 진상과 책임 규명과 안전대책이 제대로 마련될 때까지 지속해서 목소리를 낼 것"이라며 "더 이상 참담한 죽음이 없도록, 더 이상 지역사회의 안전이 위협당하지 않도록 함께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