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 1분기 합계출산율 0.90명

전국 평균 상회 불구 1년새 0.08명 감소
2018년 이후 자연감소 접어든 뒤 지속 확대
총부양비 43.5→102.6명 미래세대 부담 가중

  • 웹출고시간2024.05.29 15:41:22
  • 최종수정2024.05.29 15:41:55

2022년, 2052년 인구 피라미드

ⓒ 통계청
[충북일보] 충북을 비롯한 전국 모든 시·도에서 합계출산율이 떨어졌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4년 3월 및 1분기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을 보면 1분기 출생아 수는 6만47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천994명(-6.2%) 감소했다.

여성 1명이 가임기간(15~49세) 동안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이 올해 1분기 0.7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분기 대비 0.06명 줄어든 것이자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래 1분기 기준 최소 기록이다.

충북 합계출산율은 0.90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0.14명 많았다.

하지만 전국 평균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져 지난해 1분기보다 무려 0.08명 감소했다.

1분기 사망자 수는 9만3천626명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4천650명(5.2%) 증가했다.

이에 따라 1분기 인구는 3만3천152명이 자연감소(사망자 수>출생아 수)했다.

시도별로는 세종(361명)을 제외하고 모두 자연감소했다.

충북에서는 1천557명이 자연감소했다.

충북 인구는 지난 2017년 자연증가(출생아 수> 사망자 수, 290명)한 뒤 △2018년(-748명) △2019년(-2천30명) △2020년(-2천987명) △2021년(-3천751명) △2022년(-6천656명) △2023년(-5천899명·잠정)으로 매년 자연감소 규모가 커지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총부양비 증가로 이어져 미래세대의 부담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통계청이 전날 내놓은 '장래인구추계(시도편):2022~2052년'에 따르면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당 유소년(0~14세)·고령인구(65세 이상)를 나타낸 총부양비는 2022년 40.6명에서 2052년 94.4명으로 53.8명(132.4%)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같은 기간 충북은 43.5명에서 102.6명으로 59.0명(135.6%) 증가했다.

충북의 유소년 부양비는 16.5명에서 15.0명으로 1.5명(-9.2%) 줄어든 반면, 노년부양비는 27.1명에서 87.6명으로 60.5명(223.8%)까지 증가했다.

출생아 수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로 전국 중위연령은 2022년 44.9세에서 2052년 58.8세로 높아질 전망이다.

충북의 중위연령은 2022년 46.2세에서 2030년 51.0세, 2052년 60.5세로 높아진다.

인구의 성별·연령별 구성을 나타낸 인구 피라미드도 확연히 달라진다.

통계청은 "2022년 중간 연령층이 많은 항아리형 구조에서 2052년 점차 아랫부분이 좁아지고 윗부분이 넓어지는 구조로 변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