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6.02 16:10:05
  • 최종수정2024.06.02 16:10:05

장영재

단양군 홍보팀장

"저는 영화를 좋아합니다. 저는 그들을 보는 것을 좋아하고, 그들 속에 있는 것을 좋아합니다"-톰 행크스

영화관 하나 없는 도시로 본의 아니게 언론에 이름난 필자의 고향 단양에 드디어 번듯한 영화관이 대성산 기슭 올누림센터에 이달 말 문을 연다.

작은 영화관이지만, 인구소멸 시대에 영화관이 군 단위 자치단체에 문을 연다는 것은 영화 기적에서 철로만 있던 마을에 간이역이 생긴 기적 같은 일이다.

영화 기적에서 주인공 준경은 달려오는 기차를 피하려다 강물에 떨어진 동생 트로피를 주우려다 죽은 누나 보경의 추억과 함께 홀로 고향 집에 산다.

홀로 남은 준경은 누나의 죽음이 본인 탓이라고 여기고 간이역을 세워달라는 편지를 계속해서 청와대에 보낸다.

그의 목표는 단 하나 마을에 기차가 다시 서는 것, 아마도 그것은 죽은 누나에 대한 그리움과 죄책감이 아니었을까 싶다.

기적의 간이역과 단양에 영화관이 문을 연다는 것을 비교하는 것은 지나친 감정의 비약이라 할 수 있으나 필자의 추억 속에는 실로 기적 같은 일이다.

푸르른 미래를 약속하며 지어진 신도시 단양읍도 1985년 시내 중심가에 번듯한 영화관이 하나 있었다.

초등학생 필자와 친구들은 당시 신앙과도 같았던 심형래가 주연한 우뢰매와 당시 여중생 배우 김혜수 주연의 깜보 등을 깜깜한 영화관에서 숨죽이며 보았다.

다닥다닥 이어진 관람석과 팝콘도 없는 지금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열악한 시설이지만 우린 1분 1초를 아끼며 영화에 집중했다.

시간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건설산업 부흥기인 1970년대 단양 인구가 10만 육박했던 시절에는 나름 큰 영화관이 서너 개는 있었다.

필자가 살던 매포읍의 시장 한 가운데도 크지는 않지만 제법 많은 사람이 관람했던 영화관이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

동네 형들의 손을 잡고 '마루치 아라치'와 '로봇 태권V'를 보며 스크린 앞에서 만화 주인공 흉내를 내며 관람객에게 큰 웃음을 준 추억도 새록새록 한다.

하지만 옛 영화관들은 신단양 이주와 함께 자연스레 폐업하고 신도시에 지어진 시내의 영화관도 87년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폐업했으며 부자 동네로 소문났던 단양의 사람들도 신도시 이주로 삶이 팍팍해졌다.

스크린 앞에서 어리광 부리던 동네 형들과 청소년관람불가를 함께 몰래 보던 친구들은 부모님 손에 이끌려 하나둘씩 고향을 떠났다.

이젠 모든 게 변해 도담삼봉 거북바위 밑에서 아버지의 목에 팔을 감아 영화 아바타처럼 강물 속을 자유롭게 비행했던 황홀한 추억도 이젠 돌아올 수 없다.

1987년 폐업하고 40년 가까이 없던 영화관의 개관은 필자에게는 추억에 대한 그리움과 새로운 단양의 희망을 필름에 담은 한 편의 영화 같은 일이다.

개관될 영화관을 지켜보며 기적의 포스터 문구인 '포기란 없다 기차가 서는 그날까지'처럼 없어지거나 잊혔던 좋았던 것들이 다시금 부활했으면 한다.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