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6.06 18:04:11
  • 최종수정2024.06.06 18:04:11
[충북일보] 잦은 비와 저온, 이상고온 등 종잡을 수 없는 날씨가 농민들을 괴롭히고 있다. 올 여름엔 특히 이른 폭염이 예측되고 있다. 그 바람에 각종 식물들이 몸살을 앓을 가능성이 크다. 가뜩이나 과수화상병 등 과수질병이 잦아지면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방제에 비상이 걸린 건 당연하다.

먼저 과수화상병 확산이 심각하다. 충북지역 과수화상병의 가파른 확산세 역시 꺾이지 않고 있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올해 과수화상병은 지난 13일 충주시 동량면 사과농장에서 처음 시작됐다. 그 뒤로 지금까지 도내 5개 시·군 42건으로 늘었다. 누적 피해규모는 18.02㏊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충주 27건(6.48㏊), 제천 5건(3.21㏊), 음성 6건(7.47㏊), 단양 3건(0.84㏊), 단양 3건(0.84㏊), 괴산 1건(0.01㏊) 등이다. 도내 중·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확산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기·강원·전북 지역까지 빠르게 번지고 있다. 최근엔 제천·충주·보은 지역을 중심으로 부란병 피해가 심각하다. 부란병은 가지나 줄기에 난 상처가 곰팡이에 감염돼 발생하는 과수질병이다. 나무가 고사하거나 세력이 약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질병 발생 부위를 잘라내고 소독하는 것 외에는 뚜렷한 치료법이 없다. 예년에는 부란병 증상이 보이는 가지를 잘라 내거나 나무껍질을 벗겨내고 소독 도포처리하면 더 이상 번지지 않았다. 그런데 올해는 아무리 애를 써도 확산이 멈추지 않고 있다. 그러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나무를 통째로 뽑아내거나 아예 과원을 포기하는 농가까지 있다.

복숭아농가도 걱정이 태산이다. 평년보다 일찍 발생한 탄저병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전남 순천과 화순지역 복숭아농장에서 탄저병이 처음 확인됐다. 그 뒤 인근 지역으로 옮겨가고 있다. 탄저병에 걸린 복숭아는 어린 열매에 짙은 갈색 반점이 생긴다. 점차 커가면서 열매 겉면이 함몰된다. 보통 탄저병은 6∼7월 열매 성숙기와 수확기 비가 내린 후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했다. 토마토뿔나방은 이미 전국적으로 확산 중이다. 토마토 농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청주에서도 발견돼 방제에 나섰다. 지난달 18∼24일 오창의 한 토마토농가 5개 트랩에서 총 21마리의 토마토뿔나방 성충이 확인됐다. 성충은 약 6∼7㎜의 크기로, 은빛이 도는 회색 비늘을 가지고 있다. 바깥 날개엔 검은 점이 있다. 주로 토마토, 감자, 가지 등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내부 조직을 갉아 먹으며 피해를 준다. 해충 발생 시 토마토에 적용할 수 있는 살충제를 사용해야 한다. 친환경 재배지의 경우 교미교란제 설치, 천적(담배장님노린재) 활용, 포충기 설치 등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해충 발생 초기의 방제가 가장 효과적이다. 철저한 예찰 및 방제 외엔 달리 방법이 없다.

과수 질병이 확산하면 상품성 저하는 기본이다. 생산량 감소로 이어져 농가 손실 역시 불가피하다. 특히 과수화상병의 경우 심각할 수밖에 없다. 정부와 지자체가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더 애써야 한다. 농민들도 농기구 소독 등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꼼꼼한 방제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농업기술센터 등은 과수화상병 외 여타 과수 질병의 예방과 치료법에 대한 농가 지도를 강화해야 한다. 농업현장과 소통의 시간을 갖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 정확한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다. 답은 늘 현장에 있다.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