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6.12 14:52:41
  • 최종수정2024.06.12 14:52:41

홍석완

단양군 농업축산과 주무관

성주 참외, 영동 포도, 보성 녹차, 나주 배, 어떠한가?

지역의 명칭과 농산물이 잘 어울리고 익숙하다. 이번에는 영동 마늘, 단양 바나나, 충주 딸기, 어떠한가? 좀 어색하지 않은가?

"농산물에도 고향이 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지역의 기후와 풍토에 따라 오래 재배되어 온 농산물이 그 지역의 대표 특산물로 자리 잡아 간다는 뜻이다.

우리 단양에는 마늘이 그러하다. 이미 통일신라 시대부터 마늘이 재배돼 2007년 정식으로 우리 단양은 '단양마늘'을 지리적표시 등록했다.

석회 지대의 특성상 배수가 잘되고 황토지대가 많아 한지형 마늘의 대표성을 가지고 육쪽마늘로 전국적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런 마늘 고향 단양에도 최근 '지리적표시 도둑'이라는 시련이 있었다.

인근 모 농산물가공업체에서 단양산 마늘이 아닌 여러 지역의 마늘을 섞어와 마치 단양산 마늘인 것처럼 소비자들이 오해할 수 있게 판매를 한 것이다.

이번 사건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되돌아볼 수 있었을까?

첫째, 그들은 왜 우리의 지리적표시를 훔치려 했을까? 둘째, 그들은 왜 단양 마늘의 지리적표시만 훔치려 하고 단양 마늘을 취급할 생각을 하진 않았을까? 셋째, 다음에는 다른 이가 또 훔치려 한다면 그때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등이다.

첫째, 우리의 지리적표시를 훔치려 했던 이유는 단양 마늘이 소비자들에게 유명하고 맛이 좋으니 그들 처지에서도 판매가 수월했을 것이다.

둘째는 단양마늘이 다른 지역 마늘에 비해 절대 값싸진 않다. 이익이 많이 남지 않으니 타 지역 마늘을 선택했을 것이다.

셋째는 아무도 따라 하지 못하게 더 독특하게 만든다던가 우리 스스로 지혜가 더 필요할 것이다. 단양 마늘이 아무리 유명하고 맛이 좋아도 언제까지나 영원한 것은 없을 것이다.

결국 해당 업체는 법원으로부터 '단양마늘'이라고 오해할 수 있는 표시의 제품을 판매 중단 및 폐기 조치토록 처분받았다.

고여있는 물은 썩는다고 하였던가, 오히려 이 정도의 시련은 우리 자신을 다져볼 수 있게 해 준 좋은 약이 됐을 수도 있다. 오히려 좋다.

올해도 우리 단양은 오는 7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단양생태공체육공원에서 18번째 '단양마늘축제'를 개최한다.

세상에 값싸면서 좋은 물건은 없다고 했던가, 우리 단양마늘이 그러하다. 저렴하진 않으나 정성껏 알차게 농사짓겠다. 많은 관심과 사랑으로 우리 단양을 찾아주시길 부탁드린다.

"농산물에도 고향이 있다"는 말을 기억하는가? 마늘의 고향은 바로 이곳 단양이다!!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