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수십년 된 나무 '싹뚝'…충북도 '도마위'

주차공간 조성 위해 나무 훼손
시민단체 "시대 역행 중단" 촉구

  • 웹출고시간2024.06.10 18:05:48
  • 최종수정2024.06.10 18:05:48

충북도가 청사 내 정원과 서문 옆 향나무 등을 베어내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10일 충북연대회의 등 시민단체가 충북도청 수목 제거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은 나무들이 제거된 신관 앞 정원(위)과 동관 앞 울타리, 맨 아래는 도청 서문에서 상당공원 간에 있는 향나무.

ⓒ 김용수기자
[충북일보] 충북도가 최근 도청사 내 주차공간 조성 사업을 추진하면서 나무 수백 그루를 옮겨 심거나 제거하자 시민환경단체가 기후위기 시대에 역행하는 행정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도청의 아름다운 정원을 아끼고 사랑했던 도민 정서에 반하며, 시대정신에도 역행하는 도청 나무 훼손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주차공간 조성 계획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많은 나라가 기후위기 적응 대책으로 가로수를 심고 숲을 조성해 도시를 시원하게 만들고 있다"며 "특히 도심에 주차장을 조성하기는 커녕 도리어 주차장을 없애고 도심에 차량 진입을 제한하면서 대중교통을 활성화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청주에서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 가장 쉬운 도청조차도 주차공간 확보를 이유로 수십년 된 나무를 제거한다면 청주도심에 살아남을 나무는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도가 추진해야 하는 정책은 도청 나무를 제거하고, 수십억 원을 들여 주차장을 만드는 게 아니라 대중교통 활성화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사업을 중단하고 대중교통으로 접근이 더 쉽고 편한 도청을 만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도는 내년 말 완공 예정인 후생복지관 건립에 맞춰 청사 내 유휴공간을 정비하고 주차장을 재배치하는 공사를 진행 중이다.

447억 원이 투입될 예정인 신관 옆 후생복지관이 완공되면 350대 규모의 주차장이 확보된다.

도는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청사 내 기존 주차장을 모두 없애고 신관과 본관 사이 중앙광장에 100여대 분량의 임시 주차공간을 배치할 계획이다. 또 교통체계 개선과 울타리 정비, 통합정화조 이설 등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청사 내 나무 63그루를 도 산하 산림환경연구소 등 외부로 이식하고, 개나리 등 울타리 역할을 하던 식물 100여 그루를 제거했다.

도는 청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조처하는 입장이지만 시민환경단체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도심 숲을 늘리는 환경 정책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도청에 주차공간을 만드는 것은 원도심을 살릴 수 있는 또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며 "나무는 도로관리사업소나 수목원 등에 옮겨 심어 전체적으로 나무를 제거한다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 천영준기자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