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신보, 충북형 오프라인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특별보증 시행

소상공인 디지털격차 해소·온라인 판로 확장
자금규모 200억 원… 업체당 융자 2천만 원까지 3% 이자지원

  • 웹출고시간2024.06.10 15:53:38
  • 최종수정2024.06.10 15:53:38

(왼쪽부터) 김동희 우리은행 충청북부영업본부장, 임세빈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 허은영 충북신용보증재단 이사장, 김영환 도지사, 이병수 카카오뱅크 본부장, 이동열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 부행장이 10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 충북신용보증재단
[충북일보] 충북도, 충북신용보증재단(이사장 허은영), 4개 금융기관(농협은행·우리은행·카카오뱅크·하나은행)은 10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충북형 오프라인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특별보증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도내 소상공인의 디지털격차를 해소하고 온라인 판로를 확장하기 위해 마련됐다.

4개 금융기관의 특별출연금 13억4천만 원을 재원으로 충북신보는 200억 원의 보증을 지원한다. 충북도는 특별보증에 따른 대출에 대해 최대 5년간(1년 거치·4년 원금균등상환) 연 3%의 이자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전자상거래업을 영위중이거나 도내 사업장을 두고 기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확장·전환 또는 디지털 환경 등을 구축하는 개인사업자다. 스마트기술(주문형 키오스크, 테이블오더, 서빙로봇)·온라인주문시스템(충북공공배달앱: 땡겨요, 먹깨비)을 이용하는 개인기업도 해당된다.

지원 대상은 업체당 최대 2천만 원까지 지원되며, 보증수수료를 연 0.8%(2024년 한시적 0.5% 적용)로 낮추고 보증비율은 100%다. 대출은 도내 4개 금융회사에서 받을 수 있으며 지원 기간 중 폐업하거나 타 시·도로 이전할 경우 이자지원이 중단된다.

접수는 충북신보의 '보증드림' 앱 또는 홈페이지(https://untact.koreg.or.kr)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허은영 충북신보 이사장은 "모든 게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골목상권의 디지털 격차 해소는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일 것"이라며, "이번 특별보증은 시대 흐름에 앞장서 새로운 시도로 경쟁력을 높이는 퍼스트 무버 소상공인분들의 과감한 도전에 대한 충북신보의 응원"이라고 말했다.

임보열 충북도 소상공인정책과장은 "장기 내수침체,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경영이 어려운 요즈음, 디지털·온라인으로 전환하는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으로 경영의 효율성과 경쟁력이 한층 더 제고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도내 소상공인에게 자금 적기 지원으로 자생력이 확보됨과 동시에 충북 경제에 활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자금 신청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충북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성지연기자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