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6.12 14:48:43
  • 최종수정2024.06.12 14:48:43

김춘자

수필가

45년 전 함박눈이 내리는 날 첫딸이 태어났다. 하늘의 별이 된 아들 다음으로 내 테에 들어온 아이였다. 첫 아이를 잃은 트라우마로 병원에 가면서도 순산할 수 있을까 걱정했으나 딸아이를 무사히 분만했다. 산모인 나는 입원실로 옮겨졌다. 아기 씻기는 것을 보고 오겠다던 형님이 자정이 가까워질 때까지 오지 않았다. 산부인과에 대한 안 좋은 기억이 있었기에 '무슨 일이 또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니겠지….' 하고 나 스스로 다독이며 기다리고 있었다.

드디어 입원실 문이 열렸다. 형님이 들어오면서 아기가 이상하다고 하는 소리에 가슴이 쿵 내려앉았다. 파랗게 질린 내 모습을 보며 형님은 웃으며 말했다. 배냇저고리를 입히는데 아기가 "엄마!" 하고 옹알이를 해서 형님도 간호사도 모두 놀랐다고 했다. 병원에 가는 내내 불안해하던 나를 안심시키기 위한 형님의 따뜻한 마음에 나도 웃었다. 아기는 건강한데 병원이 얼마나 열악한지 작은 곤로에 물을 데워 씻기느라 늦었다고 형님이 덧붙여 말해서 안심이 되었다.

태어날 때도 가슴 조이게 하더니 퇴원 후에도 밤낮으로 울어대는 딸아이 때문에 내덕동에 있는 전소아과를 내 집 드나들듯 했다. 엄마 마음이 편안해야 아기도 정서적으로 안정이 될 텐데 육아에 서툰 엄마의 모유를 먹고 자라 딸도 불안했었던 것 같다. 한 번의 실패로 얻은 아이인지라 자라는 동안 온갖 정성을 쏟았더니 한 번의 실패 없이 무난히 대학교까지 졸업했다.

그때 나는 한 몸으로 세 가지 사업을 병행하느라 힘에 겨웠다. 대학을 졸업한 딸에게 위험부담이 가장 적은 대중목욕탕 운영을 맡겼다. 그러나 막상 목욕탕에서 일하는 딸을 보니 부모 잘 못 만나 날개를 펼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안타까웠다. 생각 끝에 캐나다로 유학을 보내기로 마음을 정하고 딸에게 이야기했더니 기뻐했다.

캐나다에서 3년간 학업을 마친 딸은 서양인의 몸매를 닮은 채 공항에 도착했다. 아마도 음식 탓인 것 같았다. 귀국한 지 5일 만에 서울 서초동에 있는 S그룹에서 출근하라는 연락을 받았다. 딸은 귀국하기 전 메일로 입사원서를 여러 곳에 넣고 왔다고 했다. 딸을 혼자 대도시에 내놓으려니 집 문제가 가장 걱정이었다. 나는 딸애의 사무실 근처에 집을 찾기 시작했다. 다행히 아파트가 나왔는데 딸애가 혼자 쓰기에는 넓다 싶어 서울에서 대학교와 대학원을 다니는 삼 남매를 같이 살게 해 주었다.

딸은 직장에서 건실하고 미래가 밝은 남자를 만났다. 사위는 카이스트에 근무 중 딸이 근무하는 회사에 스카우트되어 둘이 인연을 맺었다. 결혼해 아이 둘을 낳고 육아에 전념하던 딸이 어느 날 커피 분야에 심사위원이 되었다고 했다. 좋은 직장을 내놓고 아이들과 씨름하던 딸의 전화하는 목소리에 기뻐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당시 연구실 책임이사로 근무하던 사위도 딸과 함께 사업을 하겠다며 합류했다. 나는 목욕탕을 리모델링하여 N88 카페와 N88 바리스타 학원을 만들어 딸이 사업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아 주었다. 이제는 카페와 학원이 모두 자리를 잡았다.

나는 사위한테 지나가는 말로 물어본 적이 있었다. 대기업 임원이었던 때와 지금 카페를 운영하는 것 중 행복지수를 따진다면 어느 쪽이 더 낫냐고 물었다. 사위는 대기업 다닐 때는 실적을 내야 하는 부담감이 있었고 지금은 좋아서 하는 일을 하니 봄바람처럼 설레고 행복하다고 했다. 내가 괜한 걱정을 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제 아이들 다섯이 제 짝을 만나 일가를 이루어 살고 있으니 아이들에게서 해방될 때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 달에 한 번씩 돌아가면서 아이들이 집에 오니 사실 남편과 둘이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어떻게 말해야 오해가 없을까 생각하다가 쌀방개처럼 야무진 셋째 딸에게 귀띔했더니, 셋째는 엄마 모두 한날 오라고 하면 되지요. 얼굴도 보고 근황도 듣고 맛집 찾아 외식도 하고요. 라고 했다. 지금은 셋째 딸의 제안을 받아들여 그렇게 하고 있다. 더 바랄 나위가 없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