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김혜식

수필가

버튼만 누르면 상냥한 여성 목소리가 들려온다. 그 목소리는 사용 방법이나 현재 기능 상태까지 일일이 점검해주는 친절함도 지녔다. 작년 봄 일이다. 친정어머니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전기밥솥을 구입해 드렸다. 그 날 친정집에서 새로 산 밥솥에 쌀을 안쳐 어머니께 밥을 해드리던 날이었다.

"뻐꾹! 뻐꾹! 찰진 잡곡밥이 완성 되었습니다. 잘 저은 후 맛있게 드세요."라는 나긋나긋한 젊은 여성의 목소리가 밥솥에서 들려왔다. 그러자 어머니는 그게 매우 듣기 좋았나 보다. "얘야. 저 밥 솥 안에 있는 아가씨, 참으로 곱게 생겼나보다. 어쩌면 저리도 꾀꼬리 같은 목소리로 다정하게 말을 하니?"라고 한다.

그동안 머릿속 지우개인 치매에 시달려온 어머니였다. 지난 여름 어느 날 일이다. 친정엘 갔더니 어머닌 내가 사드린 전기밥솥 앞에 하염없이 서 있다. 그러고는 그것에 귀를 대어보기도 한다. 나중에는 밥솥의 기능 알림 멘트가 끝나면 또 다른 버튼을 이것저것 누르기도 한다.

그 모습에 놀라서, "어머니, 전기밥솥 버튼 함부로 누르면 고장 나요."어머닌 이 말은 듣는 둥 마는 둥 흘려들은 채 밥솥 버튼을 누르는 일에 여념이 없다. 한참을 전기 밥솥 앞에 머물던 어머닌, "이 속에 살고 있는 아가씨 목소리가 참으로 어여쁘구나. 나한테 이렇듯 다정히 말도 해주는데 한번 만나보고 싶어."이 말과 동시에 또 밥솥 버튼을 누르는 행동을 멈추지 않는다. 어머니의 이 행동에 의구심이 일어서 취사로 눌려진 버튼을 얼른 취소 한 후 전기밥솥 뚜껑을 열어봤다. 그 안엔 멀건 물만 가득 담겨 있을 뿐이다.

전기밥솥은 어머니가 누르는 대로 온갖 기능을 재빠르게 알려주기 바빠해 했다. 이런 기능에 홀린 어머니가 왠지 걱정이 됐다. 혹여 물만 붓고 취사 버튼을 누르면 다칠 우려가 있어서다. 어머니가 펄펄 끓는 뜨거운 물이 담긴 밥솥 뚜껑을 억지로 열려고 애를 쓸게 뻔해서다. 이 때 뜨거운 물에 손이라도 데일까봐 그게 걱정스러웠다. 이 상황을 막내딸에게 말하자 그 애는 나보다도 더 어머니 심정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엄마, 할머니께서 무척 외로우신가 봐요. 오죽하면 전기밥솥이 내는 그 목소리를 사람인양 착각하시고 그토록 듣고 싶어 하시겠어요?"하며 어머니를 측은해 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딸아이 말을 듣고 보니 일리가 있다. 어머니께 밥솥을 구입해 드린 이후 오랜 시간 이것을 장난감 삼아 당신의 외로움을 달래 온 게 분명하다. 이 생각에 이르자 왠지 마음이 짠했다. 한편 어머니께 죄스러웠다. 자식들은 제 살기 바빠서 친정집 전기밥솥만큼도 어머니를 위로해 주지 못한 게 사실이어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