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민주, 13일까지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 선출

7개 상임위원장 후보도 내정…26~28일 대정부질문
여, "민주주의 파괴, 역사·민심 역풍"

  • 웹출고시간2024.06.11 17:42:14
  • 최종수정2024.06.11 17:42:14
ⓒ 뉴시스
[충북일보] 국회 상임위원장 11개 선출을 단독 처리한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13일까지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 선출도 마무리 짓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국민의힘은 의회 독재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원구성을 마친 뒤 6월 임시국회 회기 내 '채해병특검법', '방송3법', '민생회복지원법', '전세사기특별법' 처리를 마치겠다는 방침이다.

강유정 원내대변인은 11일 오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 후 브리핑에서 "13일까지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을 선출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13일 본회의를 요청할 것이고 큰 이견이 없는 한 본회의가 열릴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총선 결과를 '국정 기조 전환하고 믿생을 받들라'는 것으로 이해하고 상임위별로 채해병특검법과 방송3법, 민생회복지원법, 전세사기특별법 등에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4개 법안 통과를 6월 임시국회 안에 처리하겠다"고도 했다.

이밖에 명품백 뇌물수수 의혹 등을 포함한 '김건희특검법' 추진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오는 24·25일, 대정부질문을 26일부터 사흘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민주당이 지난 10일 '대선 출마 1년 전 당대표 사퇴'에 예외를 둘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고 국회 상임위원장을 단독 표결한 것과 관련해 비판하고 나섰다.

김혜란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기어코 민주당이 '당대표 사당화'에 정점을 찍었다"며 전날 당헌·당규 개정안이 의결된 것을 꼬집었다.

이어 "22대 총선 공천에서 '비명횡사, 친명횡재'라는 말까지 등장시키며 본격적으로 '사당화'의 발톱을 드러내더니, 이제는 공당의 헌법격인 당헌·당규까지 입맛대로 바꾸면서 이재명 대표의 독주체제에 날개를 달아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의 상임위 단독 표결에 대해서도 "민주당은 이렇게 당헌·당규를 개정하고 늦은 밤 국회에서 법사위·운영위를 포함한 11명의 상임위원장을 단독 선출로 밀어붙이며 '정당 민주주의'와 '의회 민주주의'를 동시에 무참히 짓밟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당대표 한 사람의 사법리스크를 덮기 위해 다수결의 횡포를 민의로 포장하며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길'을 걸으려는 민주당, 그 막다른 길 끝에는 엄중한 역사의 심판과 민심의 역풍만이 기다릴 뿐"이라고 경고했다.

서울 / 최대만기자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